마이너스통장 한도증액 완벽정리(방법/서류)
안녕하세요.
아는만큼보인다를 추구하는 아만보 인사드립니다.
오늘은 날씨가 어제에 비해서 꽤나 선선해진
느낌이 없지 않아 있습니다. 이렇게 일교차가 심한날일수록
더욱 건강관리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오늘의 이야기를 해볼까요.
오늘은 마이너스통장 한도증액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이렇게 왔습니다.
일반적인 대.출에 비해서 마이너스통장을
이용하는 분은 그 편리성때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일반적 상품에 비해서 일정 한도내에서
자신의 계좌에 잔액이 없어서 현.금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장점과 나름 저렴한 금리 및 상환방법도 그 장점 중 하나겠죠?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 1금융권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출상품이라는 것은 알고 계셔야합니다.
단점도 분명히 존재하는 그런 상품입니다.
(복리의 이자시스템등)
즉, 마이너스통장은 이름만 통장이지 통장이 아닌것이죠.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굉장히 유용하게
잘 쓰여기지도 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쓰는 거겠죠.
그 유용함때문인지 주변에도 한도증액에 대한 정보를
구하고 있는 분들이 꽤나 많이 보이더라고요.
자신의 소득수준, 신용등급에 따라 처음 개설시에
한도가 정해지게 되는데요, 상황에 따라서
한도 증액이 필요한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이럴때 어떡해야할까요?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앞서서 마이너스 통장을
발급받으실 당시에 상황보다 자신의 상황이
더 나아졌다고 생각되면 한도증액은 어렵지 않습니다.
해당 은행에 방문해서 신청만 하면 되는 것이죠.
그 상황이라는것이 어떤것이냐고요?
이미 다들 아시고 계시리라 생각이 되지만,
사업자라면 사업소득, 직장인이라면 연봉등이
더 올라갔거나 자신의 신용등급등이 대출상환등을
통해서 올라가는 경우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은행마다 다르지만 한도증액을 위한 서류가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공통적인 서류를 한번 알아볼까요?
확인결과 대부분의 금융권에서
마이너스통장 한도증액의 구비서류는 3가지였습니다.
1. 소득원천징수영수증
2. 재직증명서(사업자등록증)
3. 신분증
위 3가지를 가지고 발급받으셨던 은행 방문을 통해서
처리가 가능한 부분입니다.
일반적으로 신용등급 3~6등급이면 1천~2천이
기본적인 한도라고 하네요.
금리의 경우 은행마다 그리고 상품에 따라
각각 다른 부분이 있으니 꼭 비교한 후 선택하시는 것이
훨씬 효율적인 선택을 할 수가 있습니다.
무작정 한도증액을 신청하는 것보다 타은행의 새로운
마이너스통장을 만드는것이 더 나을 수도 있으니까요.
지금까지 마이너스통장 한도증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단순통장이 아닌 것이니
신중하게 고려하고 잘 비교해서 현명한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좋아하는 돈에대한 구절로 마치겠습니다.
'돈은 어떻게 버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가 중요한 것이다'